1. 수질오염과 물 부족: 악순환의 고리
수질오염은 물 부족 문제를 악화시키는 가장 주요한 원인 중 하나입니다. 농업, 산업, 생활폐수 등 다양한 활동에서 발생하는 오염물질은 지하수와 하천, 호수 등 우리의 주요 물 자원을 오염시키며, 이를 마실 수 없는 상태로 만듭니다. 특히, 질소와 인과 같은 비료 성분, 중금속, 그리고 플라스틱 미세먼지는 오염의 주범으로 꼽히고 있습니다.
예를 들어, 아프리카와 동남아시아 일부 지역에서는 산업 폐수가 정화되지 않은 상태로 강과 바다로 유입되어 마실 물의 품질을 급격히 떨어뜨리고 있습니다. 유엔 환경 프로그램(UNEP)에 따르면, 전 세계 하천 중 약 80%가 제대로 된 정화 과정 없이 오염되고 있다고 합니다. 이로 인해 많은 지역이 사용할 수 있는 물의 양 자체가 감소하고 있습니다.
이와 더불어, 수질오염은 단순히 사람들의 음용수 문제를 넘어 생태계 전체에도 큰 영향을 미칩니다. 오염된 물은 물고기와 수서 생물의 생존을 위협하며, 생태계의 균형을 깨뜨립니다. 예를 들어, 오염물질로 인해 산소가 부족한 하천에서는 물고기 집단이 급감하고 있습니다. 이는 곧 수산업에도 큰 타격을 줄 수 있습니다.
2. 기후변화와 물 부족: 지속되는 위협
기후변화는 물 부족 문제를 심화시키는 또 다른 요인입니다. 기온이 상승하면서 강수량의 지역적 분포와 빈도가 급격히 변화하고 있으며, 이는 물 자원의 불균형을 초래합니다. 특히, 일부 지역에서는 폭우로 인한 홍수가 빈번히 발생하는 반면, 다른 지역에서는 심각한 가뭄으로 고통받고 있습니다.
사하라 사막 주변 지역인 사헬(Sahel) 지역은 기후변화로 인한 물 부족 문제의 대표적인 사례로 꼽힙니다. 이 지역에서는 강수량이 급격히 줄어들며, 농업과 생활에 필요한 물이 거의 고갈된 상태에 이르고 있습니다. 이에 따라 주민들은 생존을 위해 다른 지역으로 이주하거나, 기초적인 생필품 부족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습니다.
또한, 빙하가 녹으면서 발생하는 변화도 물 부족 문제를 악화시키고 있습니다. 빙하는 세계 담수의 약 70%를 차지하고 있으며, 이들 빙하가 녹아내리면서 강과 호수로 흘러들어가는 물의 양이 점점 줄어들고 있습니다. 히말라야 산맥에서 녹는 빙하는 아시아 대륙의 주요 강 유역에 영향을 미치며, 약 20억 명에 달하는 인구의 물 공급에 위험을 가하고 있습니다.
3. 물 부족이 생태계에 미치는 영향
물 부족은 생태계에도 심각한 영향을 미칩니다. 물이 부족하면 하천과 호수의 수위가 낮아지고, 이는 곧 수서 생물의 서식 환경을 위협합니다. 예를 들어, 물이 부족하면 강의 유량이 줄어들고, 이는 강에 서식하는 물고기와 기타 생물들의 생존을 어렵게 만듭니다.
대표적인 예로 아랄해(Aral Sea)를 들 수 있습니다. 한때 세계에서 네 번째로 큰 내륙 호수였던 아랄해는 현재 대부분의 물이 증발하면서 거의 사라졌습니다. 이는 농업에 사용된 과도한 물 사용과 더불어 기후변화로 인한 강수량 감소 때문이었습니다. 아랄해의 생태계는 거의 파괴되었으며, 그 결과 지역 주민들도 경제적 어려움을 겪고 있습니다.
또한, 물 부족은 토양의 건조화를 초래하며, 이는 초목이 말라 죽는 결과를 낳습니다. 이는 곧 토양 침식을 유발하며, 사막화로 이어집니다. 사막화는 지구 생태계의 균형을 크게 위협하며, 온실가스 배출 증가로 기후변화를 더욱 가속화하는 악순환을 만들어 냅니다.